반응형

세조 3

단종의 죽음을 둘러싼 기록들

단종은 세조 3년 영월에서 자살을 강요당하여 목을 매어 죽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1452년 5월 18일. 문종이 14일 승하한 후, 18일에 단종 이홍위가 경복궁 근정문에서 즉위했다. 미성년의 임금이 즉위할 경우 대비가 수렴청정을 해야 했으나 세종 비 소헌왕후 심씨와 모후 현덕왕후 권씨 모두 세상을 떠났고, 문종은 부왕 세종의 삼년상이 끝나지 않아 계비를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종을 낳고 얼마 안있어 세상을 떠난 현덕왕후 권씨 대신 세종의 후궁인 혜빈 양씨가 세자를 키웠으나 후궁은 수렴청정을 할 수 없었다. 의정부의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김종서, 우의정 정분이 단종을 보좌하는 비상 체제가 선언되었다. 36세의 수양대군 뿐 아니라 7명의 대군들이 생존해 있었다. 이때 분경 금지 조항이 선언되었는데 분경..

문종은 어떻게 재위 3년만에 세상을 떠났을까.

문종 2년(1452) 5월 3일 어의가 문종의 허리 위에 종기가 났다고 알려주어 대신들은 문종에게 잠시 정사를 쉬라고 권유했다. 종기에는 안정이 제일이므로 잠시 국사를 놓고, 둘째 동생 안평대군을 대자암에 보내 완쾌를 비는 기도를 올리게 했다. 5월 5일 문종의 환후를 살피는 당대 최고의 명의 전순의는 종기난 곳에 농즙이 흘러나왔고 콩죽을 드셨으니 괜찮다 하였고, 전순의의 진단을 믿었다. 단종실록에서는 전순의에 대해 "계통이 본래 용렬하고 천하다"라고 전하고 있다. 전순의가 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세종 22년 6월 금성대군의 병을 낳게 하는데 일조했던 일로 나온다. 전순의를 신뢰한 세종은 그에게 일본의 의술을 배울 기회도 제공했고, 조선 제일의 명의로 자리잡았다. 세종 27년에는 내의원의 대표 어의가..

세조의 계유정난과 단종의 삶

세종(조선 4대 임금) 1397-1450 재위 1418-1450 문종(조선 5대 임금) 1414-1452 재위 1450-1452 단종(조선 6대 임금) 1441-1457 재위 1452-1455 세조(조선 7대 임금) 1417-1468 재위 1455-1468 문종과 현덕왕후 권씨의 외아들인 단종은 1441년(세종 23) 탄생하였다. 세종 30년(1448년) 8세에 왕세손에 책봉되었고, 문종 즉위년(1450년) 8월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1452년 5월 18일 12세에 왕위에 올랐다. 세종은 소헌왕후 심씨 사이에서 큰아들 문종을 비롯, 수양, 안평, 임영, 광평, 금성, 평원, 영응대군과 정소, 정의 공주 8남 2녀를 두었다. 1452년 문종이 세상을 떠날 때 세자는 어렸고, 종실의 대군들이 강성한 것을 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