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는것이힘이다/근현대사 12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김대중 국민의정부 / 김대중 가계도

김대중 1924 - 2009 김대중은 1924년 전라남도 신안 하의도에서 김운식과 장수금 사이의 첫째아들로 태어났다. 김운식에게는 본부인이 있었고 장수금은 첩이었다. 김운식은 본부인 김순례에 아들, 딸을 두었고, 장수금에게도 3남1녀를 두었다. 1960년에 김순례와 이혼하였고, 장수금이 본처가 되었다. 어머니인 장수금은 1911년, 1920년 혼인을 하였으나 두번의 사별을 하였다. 김대중의 호적등본은 7살때 장수금의 두번째 남편 윤창언의 서자 윤대만에서 김운식의 서자 김대중으로 개명 등재되었다고 하여 출생에 대해 의혹이 제기 되었다. 장수금의 첫번째 남편(제갈성조)의 형 제갈성복이 친부라는 설과 두번째 남편 윤창언이 친부라는 설이었다. 하의도는 대한제국 고종의 막내딸 덕혜옹주 소유였으나 덕혜옹주가 소 다..

일제 독립운동가 장준하, 장준하 가계도, 장준하 후손

장준하 1918-1975 1918년 평안북도 의주에서 장로교 목사이던 장석인과 김경문의 5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이 요절하여 장남으로 자랐다. 그의 조부 장윤희는 개화 인사로 기독교 사상을 받아들여 개신교 장로가 되었고, 양성학교를 세우고 학생들을 가르쳤다. 1920년 아버지인 장석인은 독립운동에 가담했다가 일본 경찰에 쫓겨 삭주군으로 이사하게 되었다. 장석인은 대관유치원을 세우기도 했는데 사회운동가 리영희가 대관유치원을 다녔다고 한다. 장준하는 삭주 대관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아버지 장석인이 교사로 있는 평양 숭실중학교에 재학했다. 아버지를 따라 신성중학교로 전학하였고, 1937년 신성중 교장 장이욱이 독립운동단체인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검거되자 장준하는 학생대표로 시위 운동을 하다가 유치장에 갇..

대한민국 제7공화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 김영삼 가계도

김영삼 1927-2015 1927년 경상남도 거제도에서 아버지 김홍조와 어머니 박부련 사이의 1남5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거제도에서 멸치어장을 소유하던 부유한 집안의 아들이었다고 한다. 어머니 박부련은 1960년 무장공비 2명에 의해 살해되었고, 아버지 김홍조는 최남순과 재혼하였으나 또다시 사별하였다. 아버지 김홍주는 1985년 이수남과 재혼하였다. 일제강점기 말(1940년) 창씨개병이 강요되었던 시절에 '가네무라 고유'라는 이름으로 창씨개명을 했다. 8세에 장목소학교에 입학하였고, 1940년 통영중학교에 입항하였다. 중학교 시절 일본 학생들과 마찰을 빚어 키타지마 교장은 김영삼을 혹독하게 대했다. 교장이 진해중학교로 전근을 가게되어 학생들에게 선창가 배로 이삿짐을 나르게 하였는데 이때 귀한 설탕을 ..

조국 이력 조국 딸 비리 웅둥학원 사모펀드

조국 1965~ 조국은 대한민국의 법학자이자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냈다. 문재인 대통령이 조국을 법무부 장관 후보로 지명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1965년 부산에서 태어나 1982년 서울대 법대에 입학하였다. 당시 만 16세의 나이로 최연소 입학으로 화제가 되었다. 서울대 재학 중 법과대학 언론/학술지 의 편집장을 맡았고 학생운동에 참여했다. 서울대 졸업 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LLM 및 SJD 학위를 받았다. 1989년에서 1990년까지 석사장교로 군복무를 한 후, 1992년 3월 울산대학교 법학과의 교수가 되었다. 1992년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 사건에 연루되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반 년간 수감됐다. 남한사회주의노동자동맹은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계급투쟁을 선동하는 유인물, 대자보..

대한민국 제6공화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 노태우 가계도

노태우 1932- 노태우는 1932년 대구에서 아버지 노병수와 어머니 김태향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노태우는 세조 때부터 성종 때까지 영의정을 지낸 문광공 노사신의 15대손이라고 한다. 아버지 노병수는 노태우 어린시절 1939년 교통사고로 사망하였고 그는 숙부 노병상의 도움을 받으며 자랐다. 1939년 공산소학교에 입학했는데 6km 떨어진 곳을 걸어서 통학했다고 한다. 1945년 대구공업중학교로 진학하였다. 일제시대였지만 집안에 이렇다할 공직에 몸담던 인물이 없어 창씨개명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후 대구보고 4학년에 1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합격하여 편입학하였다. 그는 과묵하고 온순하며 착실한 모범생이었다. 가정형편이 어려워 의사의 꿈을 포기하고 1950년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투입되었다. ..

대한민국 제5공화국 제 11 12대 대통령 전두환, 전두환 가계도

전두환 1931- 1931년 경상남도 합천에서 아버지 전상우와 어머니 김점문 사이에서 6남4녀중 4남으로 태어났다. 몰락한 양반의 가문으로 13대조인 전제가 임진왜란 때 권율의 명령을 어겼다 하여 처형당했다. 어머니 김점문은 아들 전두환에 대한 기대가 강했는데, 지나가는 승려가 '어머니의 튀어나온 앞니가 아들의 운세를 가로막고 있다'는 말에 쉬 집게로 자신의 생니 3개를 뽑을 정도였다고 한다. 5세에 대구로 이사했고 1937년 희도소학교에 입학했으나 가계가 어려워 10대 초반부터 일본인 식품공장에서 배달 일을 하며 생계를 부양해야 했다. 1950년 대구공업고등학교 기계과를 졸업하였다. 1951년 한국군 최초의 육군사관학교 정규 4년제 모집 과정에 합격하여 진해의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전두환은 중학교 ..

대한민국 제 10대 대통령 최규하

최규하 1919-2006 최규하는 1919년 강원도 원주에서 최양오와 전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932년 원주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일공립고등보통학교(현 경기중학교, 경기고등학교의 전신)에 입학했다. 어학 실력이 뛰어났던 최규하는 이승만 다음으로 영어에 능통했던 대통령으로 꼽히기도 한다. 1935년 부모의 뜻에 따라 홍병순의 3녀 홍기와 혼인했다. 일본으로 유학을 가 도쿄고등사범학교로 진학하여 영어영문학을 전공했다. 1941년 만주로 가서 만주국립대동학원 정치행정반에 입학, 1943년 수료하였다. 1945년 경성사범대학 영문과 조교수로 교단에 섰다. 조교수로 재직 중 1946년 미 군정청 중앙식량행정처 기획과장으로 발탁되었고 1948년 정부수립 후 농림부 양정과장, 1951년 농립무 농지관리국장 ..

대한민국 제3 제4공화국 제5 6 7 8 9대 대통령 박정희의 일생과 박정희 가계도

박정희 1917-1979 1917년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조선 후기에 무관직정9품 효력부위를 지냈으나 동학 접주 출신으로 연좌되어 경제생활을 할 수 없었다. 둘째형인 박무희가 칠곡군의 갑부 장승원을 찾아가 그의 집안 토지의 소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했는데, 장승원의 아들 장택상은 이 일로 박정희를 공격했고, 둘은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1926년 구미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였고, 1932년 졸업한 후 대구사범학교에 응시했다. 집이 가난하여 가족들은 그의 진학을 원하지 않았지만, 박정희는 51등으로 합격했다. 1936년 김호남과 결혼을 하고 1937년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문경공립보통학교 교사로 부임했다. 그해 장녀 박재옥이 태어났다. 1939년의 행적에 대해 종화인..

대한민국 제2공화국 제4대 대통령 윤보선

윤보선 1897-1990 대통령 1960년 8월 13일 - 1962년 3월 23일 윤보선은 1897년 충청남도 아산군에서 중추원의관 윤치소와 전주 이씨 이범숙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대한제국 시대 말기 개혁자 윤치호는 그의 당숙어있다. 몰락한 가계에서 당숙 윤치호가 대한제국 외부부, 한성부판윤으로 출세하며 가세를 일으켰다. 조부 대에 100칸의 집을 마련하였고, 아버지 윤치소는 아산군의 만석꾼이었고 어머니 집안 또한 아산의 만석꾼이었다. 윤보선이 어려서 자란 안국동 자택 안동장은 99칸의 대저택이었다. 윤보선은 을사늑약 직후 10세에 한성부로 이사를 와서 교동보통학교에 입학했다. 이후 1910년 서울 충무로의 일본인 거류민들이 설치한 일출소학교에 편입하였다. 1913년 도쿄로 유학을 가서 게이오 의숙 고등..

대한민국 제1공화국 제1.2.3대 대통령 이승만 정권

이승만 1875-1965 제1대 대통령 이승만 (1948-1952) 이승만은 1948년 7월 20일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었다. 당시 2위 김구, 3위 안재홍이었다. 이승만은 우방과 외교관계를 맺어 새로 수립된 정부가 국제적 고립을 면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조병옥, 장면 두 특사를 세계 각국에 파견했다. 제3차 국제연합총회(파리, 1948년 12월)에서 한국대표단의 노력으로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안이 통과되었다. 장면을 대한민국 특사로 임명하여 주미한국대사로 보냈다. 1월 7일 일본에 배상금을 요구할 것이라 언급하고, 1월 8일 일본에 대마도 반환 요구에 대한 기자회견을 하는 등 반일 정책을 펼쳤다. 이승만은 친일파 기반으로 권력을 유지했다는 의견이 있다. '선통일, 후친일파 청산'을 주장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