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것이힘이다/정보창고

보육료, 양육수당, 유아학비 신청하기

GoodFortune 2018. 1. 4. 20:06
반응형

 

어린이집 보육료, 유치원 유아학비, 가정 양육수당 신청해서 받고 계시죠?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원에서 챙기기 때문에 지원금 챙겨받으시는데

영어유치원이나 놀이학교 보내면 가정 양육수당도 신청해서 받을수 있는데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시더라구요.

 

온라인으로도 신청 할 수 있는데요.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집에 앉아서 편하게 신청 가능합니다.

 

검색창에서 "양육수당 신청" 이라고 검색하시면 복지로 온라인신청 사이트가 검색이 됩니다.

아래 링크 누르시면 새창으로 열릴거에요.

 

http://online.bokjiro.go.kr

 

첫 화면에 온라인 신청 가능한 복지서비스가 나옵니다.

빨간색 박스로 표시한 세가지가 7세 이하 어린이가 있다면 신청해야할 항목입니다.

 

 

 

 

보육료는만 0~5세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금입니다.

금액은 아래 참고하시고요.

보육료는 부모 이름으로 아이행복카드를 만들어서 어린이집에 매달 결재를 하면 어린이집으로 입금이 됩니다.

저희 첫째 24개월에 시작된 제도라서 저는 딱 맞춰서 혜택을 받았답니다.

추가금이 있는 경우에만 어린이집에 추가 입금하시면 됩니다.

(위의 보육료 아가를 눌러주시면 상세한 설명이 있는 페이지로 이동이 됩니다.)

 

 

 

 

 

 

양육수당은 말 그대로 집에서 보육하는 경우에요.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보내지 않고 놀이학교나 영어유치원을 보내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받을 수 있답니다.

이 경우에 해당하시는 분들이 잘 몰라서 못받는 경우가 있는데 꼭 챙겨 받으세요!

해외에 90일 이상 체류하는 경우 양육수당 지원이 정지된다고 하니 이점도 참고해주세요.

 

양육 수당은 12개월 미만 20만원, 24개월 미만 15만원, 25개월부터 취학 전까지는 10만원입니다.

2018년부터는 가정소득 상위 10%는 9월부터 지원이 정지된다고 하는데, 확정인지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다른 비용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으로 입금되기 때문에 정확히 알지 못하더라도

양육수당은 직접 받는 부분이라 금액을 꼭 기억하세요!

한번 신청하면 매달 25일에 입금됩니다.

 

 

 

 

 

유치원(유아학비)는 유치원에 다니는 만3~5세 아이들이 받는 지원금입니다.

국공립 6만원, 사립유치원 22만원입니다.

 

 

신청하는 방법은 보육료, 양육수당, 유치원학비 모두 동일합니다.

원하는 지원금에 해당하는 아이콘(첫화면에서 빨간상자 중 하나) 을 눌러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 다음 가장 아래 "온라인 신청하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개인정보 활용을 체크해주시고, 공인인증서 인증을 해야합니다.

 

 

 

인증 후 아래 화면이 나오면,

보육료(어린이집), 양육수당(가정양육), 유아학비(유치원) 중 지원하고자 하는 지원금을 선택하세요.

저는 양육수당(가정양육)으로 신청합니다.

 

 

 

 

다음 화면은 동의 체크하는 화면이고요,

동의 후에 신청정보 입력을 진행합니다.

 

아래 화면에서

1. 실명인증

2. 시도 선택

3. 선택 버튼

4. 시군구 선택

5. 주소 입력

6. 주민등록 가족정보 불러오기

신청상태를 문자메세지로 보내실 분은 휴대전화 입력하셔야 합니다.

 

 

 

 

가족정보 불러오기를 누르면 팝업이 발생하면서

가족정보가 보입니다.

아래와 같이 보여야해요!

저는 크롬에서 하니까 팝업이 안뜨더라구요.

혹시 internet explorer 가 아닌 다른 웹 브라우저에서 안되면

internet explorer 을 사용해주세요^^

 

 

 

 

신청하고자 하는 자녀를 체크하고

신청인과의 관계를 선택하세요(자녀)

 

그럼 이전 페이지에서 가족구성원이 추가되어 있을거에요.

자녀에 대한 실명인증과

서비스 선택을 양육수당으로 신청하시고~

신청가능 여부 눌러주세요^^

 

가장 중요한 급여계좌 정보도 채워주세요.

바로 아래 보이시죠?

 

이제 페이지 마지막으로 이동해서

동의 하는 부분 동의하시고

다음단계를 누르면 완료됩니다.

 

 

국민세금으로 받는거니까 세금 내는만큼

꼭 지원금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