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년부터 주택임대소득 총수입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종합과세와 분리과세 중 선택이 가능하다.
1) 종합과세 (주택임대소득 + 종합과세대상 다른 소득) X 누진세율(6~42%)
2)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 X 14% + 종합과세대상 다른 소득 X 누진세율(6~42%)
분리과세 계산
수입금액 : 등록임대주택의 임대사업에서 발생하는 수입금액은 월수로 계산 (15일 이상인 경우 1개월로 봄)
필요경비율 : 총수입금액의 50%(등록임대주택은 50%)
소득금액 : 수입금액 - 필요경비
기본공제 : 분리과세 주택임대소득을 제외한 소득이 2천만원 이하인 경우 2백만원 공제(등록임대주택은 4백만원 공제)
(근로소득이 2천만원 이상인 경우 기본공제가 되지 않음......??)
* 등록임대주택은 지자체와 세무서에 모두 등록하고 임대료 연 증가율이 5%를 초과하지 않아야함.
반응형
'아는것이힘이다 >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그룹 가계도 (최태원 최창원 가계도) (0) | 2022.11.07 |
---|---|
삼성 신세계 CJ 가계도 (이병철 이건희 이재용 정용진 삼성의 가계도) (0) | 2022.11.05 |
주식계좌 개설 후 자녀 증여신고 하기 (0) | 2021.01.01 |
상가임대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 부가가치세 (0) | 2020.08.01 |
주택임대소득세 과세 대상자 (0) | 2020.07.12 |
종합소득세와 세율 (0) | 2020.07.12 |
7/2 업데이트 코로나 확진자 동선 삭제 (0) | 2020.07.02 |
7/2 업데이트 코로나 확진자 동선 삭제 (0) | 2020.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