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드디어 그린카드를 받았습니다.
그린카드는 미국 영주권 카드를 말하는데요
색깔이 초록색이라 그린카드라고 많이 불립니다.
저희 가족은 한국에서 영주권 취득 후 랜딩한 경우입니다
첫 랜딩후 60일 이내에 받는걸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저희는 그린카드를 랜딩 후 35일이 되는날 그린카드가 도착했습니다! 이렇게 미국 행정이 척척 잘 진행되는 경우도 있군요 ㅎㅎ
늦게받았다는 후기부터 가족 중 일부만 받았다는 후기가 너무 많아서 안전하게 잘 온 후기도 남겨봅니다.
그래도 잘 빋았다로 끝내기 아쉬우니 미국 영주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는 방법은 가족초청이민과 취업이민이 있습니다.
영주권 취득날짜로부터 3년(배우자 자격인 경우) 혹은 5년이 지나면 시민권 취득도 가능하고요. 영주권만으로는 10년마다 갱신을 해줘야합니다
시민권 신청 가능시기는 다음 글에서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5년이 지났어도 거주기간이 3년이 안되면 신청자격이 안되고 미국이 아닌 국가에 거주한 기간이 1년이 넘으면 리셋되고 다시 3년을 거주해야하는 등 단순하지 않더라고요
다시 영주권 취득 이민비자 얘기로 돌아갈게요!
가족 초청비자의 경우 직계가족(IR) 은 비자 쿼터가 무제한입니다. 시민권자의 배우자, 만21세 미만 자녀, 입양자녀, 만21세 이상의 부모인 경우입니다. 그외 가족인 경우는 우선순위에 따라 배정된 쿼터 내에서 진행이 됩니다. 시민권자의 미혼자녀, 미국 영주권자의 배우자와 만 21세 미만 자녀, 영주권자의 만 21세 이상 미혼자녀, 시민권자의 기혼자녀, 시민권자의 형제/자매 입니다. 형제초정은 10년씩 걸린다는 얘기가 있죠..
취업이민의 경우 아래와 같이 나뉘어집니다
EB1 : 과학, 예술, 체육, 경영 등 각 분야의 명성있는 전문가, 교수 혹은 전문연구자 (국제적 전문가로 유명해야하며 연구원의 경우 최소 박사학위)
EB2 : 각 분야의 뛰어난 전문가 (석사 이상 혹은 학사+전문분야 경력)
EB3 : 전문직종 (숙련직은 2년 이상 경력자, 비숙련직은 공장 취업 등으로 닭공장 등등 힘든 직종)
EB4 : 성직자, 미군 종사자
EB5 : 투자이민. 최소 105만 달러를 미국 내 사업에 투자(고용기회가 필요한 지역이면 80만 달러)
각각 비자 쿼터가 따로 있기 때문에 상세한 사항은 신청자가 가능한 항목에서 알아봐야 합니다.
비자마다 문호가 닫혀있는 분야도 있는데요. 문호가 닫혀있다는 표현이 뭐지? 라는 의문이 드시죠?
문호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한번 다뤄볼게요

도움이 되는 글이 되길 바라며 다음에 또 찾아오겠습니다!
'미국에서 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tional Merit Semi-Finalist (MNSF) National Merit Scholarship (MNS) (0) | 2025.02.24 |
---|---|
미국 이민비자 문호 visa Bulletin 보는 방법 (0) | 2025.02.24 |
AP (Advanced Placement) 수업이란 (0) | 2025.02.21 |
미국 도착 후 SSN 수령 후기 (0) | 2025.02.20 |
I-Ready 테스트 알아보기 (1) | 2025.02.15 |
미국 공립학교 수학과정 정리 (0) | 2025.02.14 |
영주권자 시민권자 여행자보험 insubuy (0) | 2025.02.13 |
미국 장기체류자 영주권자 FATCA 신고대상 알아보기 (2) | 2024.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