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종
912-945
재위 943-945
태조 왕건과 제2왕비 장화왕후 오씨 사이의 장남으로 이름은 왕무이다. 왕건이 궁예 휘하에서 나주를 정벌하러 갔을 때 나주에서 오씨를 만나서 혼인하였다. 왕건의 제1왕비인 신혜왕후에게 아들이 없었기에 제2왕비였던 장화왕후 오씨의 아들이 왕건의 맏아들이 되었다. 견훤의 나주 침략에 손실을 많이 입어 외가의 세력이 강하지 못했기에 왕건은 이를 걱정하며 박술희에게 혜종을 부탁했다고 한다.
921년 박술희 등의 도움으로 태자로 책봉된 후, 태조를 따라 후백제를 쳐서 공을 세웠다.
혜종의 왕비는 대광 임희의 딸인 의화왕후였다.

943년 태조가 죽자 즉위하였는데 이복동생인 왕요(정종)와 왕소(광종)가 왕위를 엿보았다. 왕요와 왕소는 왕건의 제3왕비 신명순성왕후 유씨 소생이었는데 충주 지역 호족 유경달의 외손이었다.
이를 눈치챈 왕규(왕건의 후궁 광주원부인, 소광주원부인 왕씨의 아버지)는 이 사실을 혜종에게 알렸으나 혜종은 왕요, 왕소를 처벌하지 않았다. 이에 불만을 품고 왕규는 자신의 외손자인 광주원군을 왕으로 세우려 하였다. 혜종은 동생들을 시험하기 위해 자신의 딸 경화궁부인을 광종의 후궁으로 주기도 하였다.

945년 혜종을 지지하던 태조의 최측근 박술희가 왕규 일파와 왕요 일파에 의해 역모의 누명을 쓰고 강화도로 유배되었다가 살해된다. 왕규는 혜종의 후궁으로도 자신의 딸 후광주원부인 왕씨를 시집보냈는데 이 때문에 광주원군 추대설은 왕요(정종), 왕소(광종) 때에 날조되었다는 의견도 있다.
왕권다툼 속에서 혜종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945년 병으로 죽었다. 이복동생 왕요가 왕위에 올랐는데, 혜종의 유언에 따라 왕위를 계승한 것이 아니라 군신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오른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혜종의 장자였던 흥화군은 당시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왕위를 계승하지 못하였다. 흥화군은 960년 광종11년부터 시작된 호족들에 대한 숙청 때, 정종의 아들 경춘군과 함께 처형된 것으로 보인다.
'아는것이힘이다 > 고려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의 전성기 11대 왕 문종 (1) | 2019.08.07 |
---|---|
천리장성을 쌓은 형제 고려 덕종 왕흠과 정종 왕형 (0) | 2019.08.06 |
고려 8대 왕 현종 왕순 (0) | 2019.08.06 |
고려 7대 왕 목종 왕송과 천추태후, 그리고 김치양 (0) | 2019.08.06 |
고려 6대 왕 성종 왕치 (0) | 2019.08.05 |
고려 5대 왕 경종 (0) | 2019.08.05 |
고려 3대 왕 정종 왕요와 고려 4대 왕 광종 왕소 (0) | 2019.08.05 |
후삼국을 통일한 고려 태조 왕건 (0) | 2019.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