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올해의 독재자 후보에 나온 이집트 대통령 압델 파타 엘시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독재자 후보는 총 6명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벨라루스 대통령이 함께 후보에 올랐다.
작년(2021년)에는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선정되었다.
압둘 파타흐 알씨시
압델 파타 엘시시
압둘팟타흐 시시
등으로 불린다.
여기서는 압델 파타 엘시시라고 칭하겠다.
이집트 제 5대통령 무함마드 무르시 대통령에 의해 2012년 국방부 장관 및 군 총사령관에 임명되었다. 무함마드 무르시의 경제 정책 실패로 반정부 시위가 계속되자 압델 파타 엘시시는 쿠데타를 주도하여 무함마드 무르시를 몰아내고 권력을 잡았다. 쿠데타 이후 이집트의 국가원수로 있으며 아들리 만수르를 임시 대통령에 임명하였으나 실제 권력은 본인이 갖고 있었다.
무함마드 무르시 지지세력의 시위를 진압하며 638명 이상의 사망자, 4200명의 부상자가 나왔는데 광장에 있는 사람 뿐 아니라 건물에 있는 사람도 쏘았다고 한다.
2014년 대통령 선거에서 96.91%의 득표율, 2018년 대통령 선거에서 97.08%의 득표율을 받으며 2선 대통령을 지내고 있다.
이슬람주의를 강조한 무함마드 무르시와는 다르게 종교를 인정하고 여성인권을 인정했다. 이집트 사상 최초로 여성장관이 8명이 임명되기도 하였고, 종교의 자유는 신이 부여한 권리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러나 언론을 통재하고 독재 정권을 펼치며 반대 시위에서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 2014년 4월 무슬림 형제단 683명에게 무더기 사형 선고를 내렸고, 같은 해 12월 시위에서 188명에 대해 사형 선고를 내리기도 했다. 자신을 비판하는 여성 앵커를 추방시킨 일도 있었다.
2019년 이집트 의회에서 헌법개정안이 통과되며 대통령 재임기간은 6년으로 늘어나고 재선할 경우 2030년까지 독재를 계속할 수 있게 되었다.
부인 엔티사 아메르로부터 3남 1녀를 두었다.
'아는것이힘이다 > 정보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로코 위치와 왕가 가계도 (0) | 2022.12.10 |
---|---|
대한민국 미성년자 주식부자 (0) | 2022.12.08 |
태국 국왕 라마 10세 가계도 (짜끄리 왕조) (0) | 2022.12.06 |
한화그룹 가계도 지분구조 (0) | 2022.12.05 |
효성그룹 가계도 (효성 한국앤컴퍼니 한국타이어 지분구조) (1) | 2022.12.04 |
남양유업 가계도와 이슈 (0) | 2022.12.03 |
두번째로 영토가 작은 나라 모나코 (모나코 공작 가계도) (1) | 2022.12.03 |
이란 최고지도자 라흐바르 (이란 대통령 위에 있는 자) (0) | 2022.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