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종 2년(1452) 5월 3일 어의가 문종의 허리 위에 종기가 났다고 알려주어 대신들은 문종에게 잠시 정사를 쉬라고 권유했다. 종기에는 안정이 제일이므로 잠시 국사를 놓고, 둘째 동생 안평대군을 대자암에 보내 완쾌를 비는 기도를 올리게 했다. 5월 5일 문종의 환후를 살피는 당대 최고의 명의 전순의는 종기난 곳에 농즙이 흘러나왔고 콩죽을 드셨으니 괜찮다 하였고, 전순의의 진단을 믿었다. 단종실록에서는 전순의에 대해 "계통이 본래 용렬하고 천하다"라고 전하고 있다. 전순의가 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세종 22년 6월 금성대군의 병을 낳게 하는데 일조했던 일로 나온다. 전순의를 신뢰한 세종은 그에게 일본의 의술을 배울 기회도 제공했고, 조선 제일의 명의로 자리잡았다. 세종 27년에는 내의원의 대표 어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