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는것이힘이다/정보창고 195

대상그룹 가계도 (임창욱 임세령)

창업자 임대홍 1920~2016 5남 1녀 중 장남으로 광복 이후 모피가공업으로 사업의 길을 시작했다. 25세에 공무원을 그만두고 피혁공장을 세웠다. 일본으로 건너가 조미료 제조법을 습득한 후 한국으로 돌아와 '미원'으로 조미료 사업을 시작했다. 제일제당에서 미원을 이기고자 미풍을 출시했으나 미원이 승리하였고 삼성 창업주 이병철은 자서전에서 본인 인생에서 뜻대로 안된 것 세가지가 자식, 골프, 미원이라고 했다고 한다. 제일제당에서 이후 '다시다'를 내놓았고 대상은 '맛나'를 출시했고 80년대에 들어와 제일제당의 다시다가 1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1987년 장남 임창욱에게 그룹 회장직을 물려주었다. 창업주 임대홍은 제품 개발과 연구에만 몰두하며 일본 출장시에도 도쿄 변두리 7평짜리 아파트를 쓰는 등 검소했..

영국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영국은 그레이트 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이다. 2022년 월드컵에 잉글랜드와 웨일즈가 따로 출전하길래 궁금해서 영국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영국은 그레이트브리튼섬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와 아일랜드섬 북부의 북아일랜드 네 개의 구성국이 연합해 형성한 단일 국가이다. 흔히 영국을 영어로 잉글랜드라고 부르다보니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의 잉글랜드와 영국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 지도에서 보면 노란색의 북아일랜드, 파란색 스코틀랜드, 빨간색 잉글랜드, 초록색의 웨일스가 그레이트브리튼 북아일랜드 연합왕국(=영국)이다. 국기와 국가, 수도가 또한 각각 있다. 웨일스(Wales) 1282년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가 웨일스를 정복하였으나 15세기 초 오와인 글린두르가 웨일스를 독립시켰다. 이후 153..

월드컵 개최국 선정은 어떻게 이루어질까?

최초의 월드컵은 우루과이에서 열렸다. FIFA 회장이었던 쥘 리메는 첫 월드컵을 우루과이에서 개최하기로 결정하였고 각 국가에 대회 참가 초청을 보냈지만 우루과이가 멀리 있었기에 출전을 망설였다. 쥘 리메는 유럽 팀들 참가를 위해 모든 체류비와 여정비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유럽 팀들을 설득했고 유럽 4팀이 출전하게 되었다. 유럽 4팀 북중미 2팀 남미 7팀 총 13개 팀이 첫 월드컵에 출전하였다. 개최국은 유럽과 아메리카 두 대륙 간에 순환개최를 하는 것으로 합의 되었는데 1934년 두번째 월드컵이 이탈리아에서 열린데 이어 1938년 세번째 월드컵이 프랑스에서 열리는 것이 결정되자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는 월드컵에 불참하기도 했다. 1942년 1946년 월드컵은 제2차 세계대전으로 개최하지 못하였고 1950년..

카타르 국왕과 왕가 가계도

서아시아, 중동에 위치한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동쪽의 작은 나라이다. 카타르는 풍부한 석유와 천연가스로 1인당 GDP가 9만달러로 세계 1~3위를 넘나드는 부유한 나라이다. 2022년 월드컵 개최지인 카타르의 왕가를 살펴보겠다. 카타르의 왕은 아미르 라고 부르지만 편의상 국왕이라 정리했다. 초대 국왕 모하메드 빈 알사니 재위 1847~1878 2대 국왕 자심 빈 모하메드 알사니 재위 1878~1913 3대 국왕 압둘라 빈 자심 알사니 재위 1913~1949 4대 국왕 알리 빈 압둘라 알사니 재위 1949~1960 5대 국왕 하마드 빈 압둘라 알사니 재위 1960~1972 6대 국왕 칼리파 빈 하마드 알사니 1932~2016 재위 1972~1995 1960년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며 국무총리와 재무부 장관을 ..

역대 월드컵 우승국 - 최대 우승국은? 월드컵 기록들

1930년 1회 월드컵부터 2018년 21회 월드컵까지 우승을 가장 많이 한 나라는 브라질이다. 브라질은 6회, 7회, 9회, 15회 17회까지 총 5회의 우승을 차지했다. 두번째로 우승을 많이 한 나라는 독일로 5회, 10회, 14회, 20회 월드컵에서 총 4회의 우승을 차지했다. 5회, 10회, 14회는 서독으로 출전, 20회는 독일로 출전했다. 최다 진출국 또한 브라질로 단 한번도 빠지지 않고 모든 대회(22회)에 본선 진출을 했다. 1회 1930년 우루과이 2회 1934년 이탈리아 3회 1938년 이탈리아 4회 1950년 우루과이 5회 1954년 서독 6회 1958년 브라질 7회 1962년 브라질 8회 1966년 잉글랜드 9회 1970년 브라질 10회 1974년 서독 11회 1978년 아르헨티나 ..

농심 신춘호 가계도

신춘호 (1932~2021) 농심그룹 창업주 & 초대 회장 신춘호 농심그룹 창업주는 롯데 창업주 신격호의 동생이다. 5남 5녀 중 3남으로 태어났다. 형이 운영하던 롯데그룹에서 근무하다가 라면 사업을 위해 1965년 롯데공업주식회사를 설립하고 1978년 농심으로 사명을 변경했다. 라면사업을 시작한 당시 형 신격호는 동생의 계획에 반기를 들었고 형제 간의 갈등이 생겼다. 롯데라면으로 시작해 삼양식품과 경쟁했으며 형이 롯데 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못하게 해서 이름을 바꾸게 되었다. 신춘호가 신라면을 출시하며 라면산업에서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신격호, 신춘호 두 형제는 사망할 때까지 화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농심의 신라면은 신춘호의 성씨 글자인 매울 신자를 써서 작명을 했다고 한다. 농심의 새우깡 역시 신춘호가 ..

롯데 가문 가계도 (신격호 신동주 신동빈 신영자 가계도)

롯데그룹은 우리나라 재계 순위 5위인 대기업이다. 창업주는 신격호(1921~2020) 로 1948년 일본에서 롯데를 설립했다. 1967년 대한민국에 롯데제과를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하며 일본과 대한민국에 각각 본사를 갖고 있다. 롯데 라는 사명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여주인공 샤를로테에서 따온 것이라는 것이 롯데 측의 공식 입장이다. 신격호 (1921~2020) 롯데 창업주 & 초대 회장 5남 5녀 중 장남이다. 1946년 일본으로 갔으며 비누와 화장품을 만드는데 성공한 후 껌 사업에 뛰어들어 1948년 롯데를 설립했다. 신격호가 개발한 껌이 인기가 좋아 과자점 주인들이 서로 납품하겠다고 신격호의 연구소 앞에서 새벽부터 줄을 섰다고 한다. 1959년 롯데상사, 1961년 롯데부동산, 1967년 롯데애드,..

현대그룹 현대자동차 가계도 (정주영 정몽구 정몽준 정의선 가계도)

현대그룹의 창업주는 정주영(1915~2001)이다. 8남 3녀를 두어 아들들 간의 다툼이 심했고, 현재는 현대자동차그룹, 현대백화점그룹, 현대그룹, 현대중공업 그룹 등으로 분리되었다. 정주영(1915~2001) 1940년 초반 자동차 정비회사인 아도 서비스를 인수하여 운영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현대자동차공업사, 현대토건사를 설립, 합병하여 현대건설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전쟁으로 파괴된 도시와 교량, 도로 등을 복구하며 현대건설은 승승장구하였고 1967년 현대자동차를 설립하였다. 1971년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현대시멘트 등을 총괄한 현대그룹을 창립하고 대표이사에 취임했다. 1987년 현대그룹 회장직에서 물러나 명예회장이 되었으며 통일국민당을 창당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

SK그룹 가계도 (최태원 최창원 가계도)

최종건 SK 초대 회장이자 창업주인 최종건은 8.15 광복 직전 일본인이 경영하던 선경직물공장 견습기사로 입사하였다. 6.25 이후 1953년 선경직물을 인수하여 SK그룹의 모태인 선경그룹을 창립하고 무역, 정유화학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넓히며 사업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73년 47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하며 동생 최종현이 회사를 이어받았다. 최종건은 폐암으로 투병 생활을 하다 사망하였는데 동생 최종현 회장도 폐암으로 68세에 사망하였으며 장남 최윤원 또한 폐암으로 49세에 사망했다. 3남 4녀를 두었고 차남 최재원은 현재 SK 주요직책에서 물러나있으며 3남 최창원은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을 맡고 있다. 최종현 2대 회장 최종현은 1962년 선경직물 이사직을 맡으며 선경그룹의 경영을 시작했다. 1973..

삼성 신세계 CJ 가계도 (이병철 이건희 이재용 정용진 삼성의 가계도)

이병철은 삼성그룹, CJ그룹, 산솔그룹, 중앙일보를 창업한 대한민국 대표 기업인이다. 지금도 이병철의 후손들은 우리나라 굵직한 많은 기업을 이끌고 있다. 이병철은 부인 박두을로부터 3남 5녀를 두었으며 재혼한 구로다로부터 1남 1녀를 두어 4남 6녀의 자녀를 두었다. 1938년 29세에 30,000원의 자본금으로 대구 수동에 '삼성상회'라는 간판을 걸고 사업을 시작하며 삼성이 시작되었다. 1945년 한국 전쟁으로 피난을 떠났다가 1951년 부산에 삼성물산을 세워 무역업을 시작하였고 1953년 제일제당, 1954년 제일모직을 설립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1969년 삼성전자와 삼성전기를 설립하였고, 1972년 제일합섬, 1974년 삼성석유화학, 삼성중공업을 설립하였다. 차남 이창희는 1967년 삼성그룹을 떠나..

반응형